공부/정리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내 의료 코드, 코드 블루 코드 화이트는 조심하세요.

    ' 2021. 8. 19. 18:12
반응형

대학병원에 방문하게 되서 외래진료를 기다리는 동안 들어봤을 수도 있는 내용들에 대한 정리입니다.

 

EX) (신호)신관 4층 신경외과 11번 진료실 코드 블루, (신호음)코드 화이트 병원외래 3층 정신건강의학과 9번 진료실 성인 상황 종료 코드화이트

 

이런 식으로 방송을 하게 되는데요. 방송이 나가고 의료진이 긴박하게 가는 경우도 있고, 여러 명의 시큐리티 복장을 입은 직원들 3명~5명이 가는 일도 있습니다.

 

병원 내에서 이러한 일들은 엄청 긴급한 상황이기에 길게 설명할 수 없어서 특정 코드로 설명하는 것인데요.

 

이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코드 레드 

불이 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간단한 불이 나더라도 병원에는 굉장히 긴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화재에 대한 방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고 소화전으로 끄는 일도 있지만 브리핑을 했을 때 꽤 긴장하는 순간 중 하나입니다.

코드 블루

CPR이 필요한 경우를 말하는데, 이 때 담당하고 있는 의료진과 간호 인력 대부분이 갈 수도 있는 상황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이 때 심장에 혈전이 발생하게 되면 뇌졸중의 증상이 와서 정말 운이 뇌경색 또는 뇌출혈, 매우 운이 나쁘다면 식물인간 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코드 오렌지

보호자 또는 환자가 의료진을 폭행했을 때를 말합니다.

모든 다른 사람에게 알려야 하고, 폭력을 행사한 사실을 기록하거나, 환자를 침착하게 진정시키거나, 바로 자리 비우거나, 무시해야 합니다.

코드 그린 

전염병이 의심되는 환자가 병원에 오고, 감염내과 내에서 확인이 되었을 때 코드 그린을 브리핑하게 됩니다.

코드 옐로우 

환자가 누락되었을 때를 말합니다.

코드 블랙

응급한 상황의 환자가 매우 많이 몰려오게 되었을 때, 의료진이 부족할 때 브리핑합니다.

5명 이상의 외과의가 있어야 하는 상태의 환자가 3~4명 이상 오게 될 때 브리핑하게 됩니다.

코드 엠버

소아청소년과 또는 아동청소년 관련 병동, 어린이병원에서 유괴 또는 어린이의 납치가 되었을 때를 얘기합니다.

외래, 또는 병동 내에서 CCTV 활성화가 굉장히 잘 되어있기 때문에 찾을 확률이 높지만, 외부로 벗어나게 되면 경찰관의 입회 하에 CCTV를 열람하거나 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코드 그레이 

경제사범, 살인, 강도, 성폭력, 방화, 마약, 절도범, 폭력 등 강력범을 포함해 징역 3년 이상의 죄를 범한 사람이 병원에 오거나, 긴급 공개수배자, 구속영장이 발부된 자, 중요지명피의자로 지명수배자 통보가 된 사람이 병원에 왔을 때 코드 그레이 브리핑을 합니다.

 

ex) 코드 그레이 신장내과 코드 그레이 인공심장실

 

코드 퍼플

환자나 보호자, 병문안을 온 사람이 위협적인 행동을 할 때 브리핑합니다.

코드 클리어

코드 종료, 또는 코드 클리어라고 말합니다.

위의 코드 상황들이 완전히 종료되었을 때를 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