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혈전증 2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심낭염 심근염 부작용 사망 예방 진료과 정리(스압)

저는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고 가슴 통증과 두통을 겪었는데요. 막상 사망하진 않고 살아있습니다. 혈전 이슈가 발생한 것도 아니고요. 대신 백신 부작용을 방지한다는 효과가 확실하게 증명된 것은 없지만 타이레놀을 6시간마다 챙겨서 먹고 있습니다. 바이러스 벡터형 얀센, 화이자 mRNA 백신이 출시된지 20년도 안되서 맞은 것이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한 걱정이 있을 텐데요, 제 결론은 백신 맞는 게 낫다 입니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 심근도 측정, 두통, 심장 통증 등 혈전에 대한 부작용이나 사망에 대한 걱정이나 염려가 될 때 검진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상온 보관이 가능하고, 비영리 백신이라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백신 맞고 척수염 걸리거나 백혈병에 걸리는 아직까지..

공부/정리 2021.09.05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 백신 접종 후 혈전 예방용으로 개인적인 정리

병원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으로 접종했습니다. 용산구 보건소에서 원래 화이자 백신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아무래도 빨리 맞는 게 좋을 것 같아서 화이자 패스하고 AZ백신을 맞기로 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라고 말은 하지만 AZD1222 또는 백스제브리아 백신이라고 말하는 게 옳다고 봄. 아무래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이후 사망 소식들이 종종 전해지다보니 개인적으로 많이 불안한데, 내 가족력 중 뇌졸중 유전인자가 있기 떄문에 굉장히 겁이 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이후 타이레놀 1알씩 먹고 있고, 약국에서 품절이 됐다는 얘기는 실제로 겪지 못했음. 지속시간 길어봐야 여섯시간인데 그냥 일단 먹음 백신 맞고 마스크 벗는지? 베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50퍼센트 미만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외출 시 ..

질병 2021.08.27
반응형